View

이슈 - "먹는 코로나19 치료제", MSD 몰누피라비르(Molnupiravir)

 

 

 

몰누피라비르(Molnupiravir)
개발명: EIDD-2801; MK-4482
CAS No.: 2349386-89-4

 

몰누피라비르 Molnupiravir


에모리 대학교(Emory University) 산하 비영리약물개발업체 DRIVE(Drug Innovation Ventures at Emory)의 CEO이자, 에모리 약물개발연구소(Emory Institute for Drug Development)의 이사인 George Painter 박사가 최초합성하고 조지아 주립대학교(Georgia State University)의 Richard Plemper 교수팀이 바이러스 활성을 발견하였다.

이후, 몰누피라비르는 Ridgeback Biotherapeutics에 2020년 라이센스아웃 되었고 Ridgeback은 MSD(Merck Sharp & Dohme; MRK)를 파트너로 하여 약물을 개발 중에 있다.

머크는 Cipla Limited, Dr. Reddy's Laboratories Limited, Emcure Pharmaceuticals Limited, Hetero Labs Limited 및 Sun Pharmaceutical Industries Limited 등 5개의 인도 제약사와 제조협약을 맺었다.

기전 및 골격: 바이러스 복제 억제 - NHC-prodrug; SARS-CoV-2(코로나19)를 포함한 여러 RNA 바이러스의 복제를 억제하도록 설계된 리보뉴클레오시드 유사체; 바이러스가 게놈을 복제하는 과정을 막는 이른바 가짜 유전적 블록 역할을 한다. 즉, 바이러스가 본래는 올바른 RNA 염기를 삽입하여 복제하여야 하는데, 약물이 대신 도입되어 복제되는 방식이다. 결과적으로 바이러스는 과도한 돌연변이 유발 되거나 "Error Catastrophe"화 한다.

전임상 확인: 치쿤구니야 바이러스 감염; 동부마뇌 바이러스 감염; 에볼라 바이러스 감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MERS;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감염;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 베네수엘라 마뇌 바이러스 감염.

임상(미국) - 4 건; 완료 1건, 모집중 2건, 활성(모집전) 1건
NCT04405570(완료): 참가자 204명; 무작위, 이중맹검, 위약대조, 병렬그룹; 2020년 6월 16일 시작, 2021년 2월 21일 완료함.
몰누피라비르는 5일 동안 12시간마다 정제 형태로 복용, 총 10 Tab.로 구성
- 현저하게 감소된 SARS-CoV-2 RNA 제거 소요시간 및 바이러스 분리 
- SARS-CoV-2 RNA가 제거된 환자 비율 증가
- COVID-19 외래 환자에서 위약과 비교하여, 기준선 대비 SARS-CoV-2 바이러스 RNA의 상대적인 큰 감소.

Appendix

Molnupiravir 투입 후 체내변화

몰누피라비르는 혈장에서 EIDD-1931(NHC)로 빠르게 전환되고, 다양한 조직으로 분포된 후 숙주 키나제에 의해 활성 항바이러스제인 EIDD-1931-5'-삼인산으로 전환된다(PAINTER, Wendy P., et al., 2021 Human safety, tolerability, and pharmacokinetics of molnupiravir, a novel broad-spectrum oral antiviral agent with activity against SARS-CoV-2. Antimicrobial agents and chemotherapy, 2021, 65.5: e02428-20).

 

몰누피라비르 유사체 검색

 

Molnupiravir-Cyitidine

상기 전체구조는 몰누피라비르이며, 사이티딘(blue)에서 추가된 moiety를 빨강으로 표현해보았다.
제조 스텝이 단순하고 저렴해보인다.. 괜히 인도와 제조협약을 맺은 것이 아닌듯
일단 승인만 받고 나온다면야 제품은 쏟아져 나올 것이다.

 


약물 타겟 발상이 매우 좋고, 기전이 뚜렷하다. 약물독성 문제가 작년부터 나오는것 같은데 워낙 기본적 리보뉴클레오시드 scaffold인지라 체내 많은 부분을 건드려서 그럴 터이다. 3상에서 적절한 용량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6월 9일 미 정부는 약 12억달러 규모로 선구매를 결정했고 MSD는 몰누피라비르시가 긴급 사용 승인 또는 FDA 승인을 받는 즉시 약 170만명분을 공급할 예정이라고 한다. 한국MSD가 한국정부와 논의 중이라는 멘트를 언론을 통하여 드러낸 것을 보아, 정은경 질병청장의 추경 요구가 받아들여진다면 구매가 유력하지 않을까.

타겟은 코로나19로 인한 중증 환자가 적합하다. 무엇보다도 주사가 아니라 먹는 약이다. 산소통 문제로 비극을 보여주는 남반구 여러 나라에 간단하고 빠른 치료제로 도움이 될 것이다.

Share Link
reply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